Spring의 핵심 개념 중 PSA에 대해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먼저 Service Abstraction, 그리고 PSA의 개념을 먼저 살펴보자. 1. Service Abstraction Service Abstraction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특정 기능(서비스)을 구현할 때, 구현 세부사항을 숨기고 인터페이스만 제공하는 개념이다.이로 인해 사용자는 세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이,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왜 Service Abstraction이 중요할까?구현변경에 유연함을 제공 서비스의 내부 구현을 변경하더라도,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는 동일하므로 외부 코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를 Mysql에서 PostgreSQL로 변경하더라도, 데이터 접근 방식(JDBC,..
Backend/Spring
1. Bulk Update는 어떻게? Spring JPA에서는 변경감지(Dirty Checking)에 의해 엔티티가 변하게 되는 경우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자동으로 Update문이 수행된다. 그런데.. 만약 30개.. 40개.. 100개 .. 벌크성 데이터를 Update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Spring JPA에서 제공하는 변경감지에 의존하여 벌크성 데이터를 Update 하게 되면 성능에 영향을 줄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Spring JPA에서는 JPQL을 통한 Bulk Update를 지원하고 있다. 2. Spring JPA에서 Bulk Update 사용법 사용법은 간단하다. @Query로 Update 쿼리를 작성후 @Modifying 어노테이션을 추가해주면 된다. @Modifyi..
1. 매핑 관계에서 다대일? 단방향? 양방향? 매핑을 설명할 때 다대일, 단방향, 양방향 이러한 이야기가 나오곤한다. 먼저 다대일의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창 시절 학생들은 특정 반에 속해있다. 이러한 관계를 다대일이라고 한다. 이를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그렇다면 단방향? 양방향은 무엇일까? 엔티티를 정의할 때 한쪽 엔티티에만 다른 엔티티를 정의하면 단방향 연관관계, 양쪽에 각각 정의를 하면 양방향 연관 관계라고 한다. 2. mappedBy? JPA의 경우 mappedBy를 명시하지 않으면 두 엔티티가 양방향 관계임을 모르게 된다. mappedBy란 JPA 엔티티의 양방향 연관관계에서 연관관계의 주인을 표기해주는 옵션이다. 3. 연관관계의 주인이란? 연관관계의 주인이란? FK를 관리하게 되는 ..
1. CasCade란? 엔티티의 상태 변화를 전파시키는 옵션이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특정 엔티티를 변화시킬때 그에 따라 연관된 엔티티도 같이 상태가 변한다는 의미이다. 2. CasCade Type? 총 6가지의 Type을 가지며 각각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ascadeType.All : 상위 엔티티에서 하위 엔티티로 모든 작업을 전파 CascadeType.PERSIST : 엔티티를 영속화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영속화 CascadeType.MERGE : 엔티티 상태를 병합 시 연관된 엔티티도 모두 병합 CascadeType.REMOVE : 엔티티를 제거 시 연관된 엔티티도 모두 제거 CascadeType.DETACH : 엔티티를 준영속화 할때, 연관된 엔티티도 모두 준영속화 CascadeTyp..
1.OSIV란? OSIV는 Open Session In View의 줄임말로써 영속성 컨텍스트를 view까지 열어두는 기능이다. 영속성 컨텍스트가 유지된다면 엔티티도 영속 상태로 유지되고 view까지 영속성 컨텍스트가 유지된다면 지연 로딩을 사용할 수 있다. 쉽게 이야기 하면 view에 가서도 엔티티 호출하여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는 말이다. Spring JPA에서 OSIV는 디폴드 값이 true 이며 설정 변경을 통해 on/off 가능하다. 2. OSIV ON 기본적으로 JPA가 DB 컨넥션을 가져오는 시점은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추가된 메소드가 실행될 때 DB 컨넥션을 가져오게 된다.(일반적으로 Service영역) 그렇다면 DB에 컨넥션을 반환하는 시점은 언제일까? 일반적으로 Tra..
1. N+1 문제란? 예를 들면 주문(Orders)과 주문정보(Order_item) 2개의 1:N의 구조의 엔티티가 있다고 가정하자. 주문과 주문정보를 전체 데이터를 조회할때 일반적으로 join문을 사용하여 한번의 쿼리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그러나 JPA에서는 1번 조회되어야 할게 각각 N번을 추가로 조회하게 되어 총 N+1을 DB에서 조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N+1 문제'라고 말합니다. N+1 문제는 N:1 , 1:N을 가진 엔티티를 조회할 때 발생하게 됩니다. 2. N+1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EAGER Loading Fetch type을 EAGER 전략으로 하였을 경우에 N+1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통해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주문(orders) 엔티..